( 1 )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기존의 활주로 식 항공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능력을 보유한 신개념의 항공기를 만들고자 함이다 ( 2 ) 해결하려는 과제 기존의 활주로 식 항공기는 날고 뜨는 데에만 중점을 두어 긴 활주로를 달리는 번거로움을 당연시 했다 출현 후 지금까지 그 방식은 바뀐 게 없다 그러나 긴 활주로를 달리는 것은 원시적이고 비능률 비효율 적인 것이다 또한 수시로 바뀌는 풍향에도 늘 같은 방향의 활주로를 이용해야 했다 그런데 항공기의 이착륙 시 옆에서 부는 바람과 뒤에서 부는 바람은 아주 위험하다 이로 인해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였고 활주 각을 통제하는 공항관제소의 기기고장이나 악천후 등으로도 많은 사고를 유발하였다 ( 3 ) 과제의 해결수단 본 발명을 적용한 항공기는 각이 변하는 여러 개의 짧은 날개를 설치하여 큰 이착륙 각으로 이착륙을 함으로서 이착륙 각에서 자유로워지면서 긴 활주로의 문제를 해결하였고 풍향 을 선택하여 맞바람 쪽으로 이착륙을 할 수 있으므로 위험한 변수나 악천후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였다 ( 4 ) 효과 별도의 비교란 을 만들어 표시하였다 - ( 표1 ) 참조- [표1] (비교란) 두 항공기의 비교
3 a transfer angle the wings to the third generation air craft
변각형 양력 조절방식의 날개를 장착한 3세대 항공기
2017-07-07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 B64C AEROPLANES , Flugzeuge |
3 a transfer angle type lift power control system of the wings to the third generation aircraft
European Patent Office | 2019
European Patent Office | 2018
|3 a transfer angle type lift power control system of the wings to the third generation aircraft
European Patent Office | 2018
|Hydrofoil craft: boats that fly on wet wings
Engineering Index Backfile | 19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