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교각 위에서 상부 구조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해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해체 장치는 트롤리 빔, 복수의 제1 리프팅 장치, 복수의 기울기 조절 장치, 복수의 제2 리프팅 장치와 복수의 제1 수평 이송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트롤리 빔은 복수의 하부 구조물 위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상부 구조물 중에서 해체하고자 하는 단위 상부 구조물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1 리프팅 장치들은 트롤리 빔과; 트롤리 빔과 함께 단위 상부 구조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상부 구조물 중 단위 상부 구조물의 양단과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구조물과 트롤리 빔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기울기 조절 장치들은 제1 리프팅 장치들과 연동하여 트롤리 빔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두 개의 상부 구조물과 복수의 제1 리프팅 장치 각각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리프팅 장치들은 트롤리 빔에 대해 단위 상부 구조물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단위 상부 구조물과 트롤리 빔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수평 이송 장치들은 상부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리프팅 장치들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트롤리 빔 위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수평 이송 장치들은 제1 리프팅 장치들과 제2 리프팅 장치들의 작동에 의해 인양되어 있는 단위 상부 구조물을 운송 수단으로 이송시켜 탑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상부 구조물의 아래쪽에서 제1 리프팅 장치들과 기울기 조절 장치들의 작동에 의해 단위 상부 구조물의 수평을 유지시키면서 하부 구조물로부터 단위 상부 구조물을 1차 인양하고, 단위 상부 구조물의 위쪽에서 제2 리프팅 장치들의 작동에 의해 트롤리 빔에 대해 단위 상부 구조물을 2차 인양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해체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Zugriff

    Download


    Exportieren, teilen und zitieren



    Titel :

    APPARATUS FOR DISASSEMBLING BRIDGE SUPERSTRUCTURE


    Weitere Titelangaben: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해체 장치


    Beteiligte:
    KIM JI HYE (Autor:in)

    Erscheinungsdatum :

    03.02.2025


    Medientyp :

    Patent


    Format :

    Elektronische Ressource


    Sprache :

    Koreanisch


    Klassifikation :

    IPC:    B66C Krane , CRANES / E01D BRIDGES , Brücken



    METHOD FOR DISASSEMBLING BRIDGE SUPERSTRUCTURE

    KIM JI HYE | Europäisches Patentamt | 2025

    Freier Zugriff

    DEVICE FOR RAISING A BRIDGE SUPERSTRUCTURE AND METHOD FOR RAIS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USING THE SAME

    KANG TAE WOO / PARK EUN KWANG | Europäisches Patentamt | 2021

    Freier Zugriff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Europäisches Patentamt | 2019

    Freier Zugriff

    Armor for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using the same

    KIM SEON PYEONG / LEE SEUNG HAN / CHOI HEE CHUL et al. | Europäisches Patentamt | 2023

    Freier Zugriff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JINYOUNG SUK / SEUNGKEUN KIM / HOIJO JEAONG et al. | Europäisches Patentamt | 2019

    Freier Zugri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