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의한 원격 소방로봇(9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지지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좌우측에 장착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지면에 착지되어, 상기 바디(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구동부(200)와, 상기 바디(100)에,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분사노즐(310)과, 상기 바디(100)에,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장착된 카메라(41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바디(100)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 측방프레임(210)과, 상기 측방프레임(2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ㅅ형의 메인링크(230)와, 상기 메인링크(230)의 전후방의 양측 선단부에 각각 회동하도록 장착된 ㅅ형의 서브링크(240)와, 상기 서브링크(240)의 전후방의 양측 선단부에 각각 장착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각각의 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바퀴(245)와, 상기 측방프레임(210)의 전후방에 각각 일측이 회동하도록 연결되고, 상대측은 상기 메인링크(230)_에 연결된 업소버(2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나무나 바위 내지는 구조물 등의 장애물을 용이하게 넘을 수 있고, 계단이나 오르막을 오르는 등반 능력을 배경기술에 비해서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일반 평지를 신속하게 주행할 수 있다. 셋째, 분사노즐(310)을 팬틸트 드라이버(320)를 통해서 좌우회전 및 상하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디(100)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화재 지점을 용이하게 조준할 수 있다. 넷째, 험난한 지형 내지는 장애물을 넘을 때 바디(100)가 흔들릴 때에도 카메라(410)의 흔들림을 짐벌(430)에 의해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종자는 육안으로 화재 현장의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본 발명의 조종이 용이하다.
Remote forest fire fighting robot
원격 소방로봇
23.07.2025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Engineering Index Backfile | 1928
|